전기차충전시설 지상 이전 뚜껑 열어보니 실적 저조
||2024.12.16
||2024.12.16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로 인천시 연수구가 발 빠르게 ‘전기차 충전시설 이전사업’을 벌였지만 신청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대책 마련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화했다는 지적이다.
16일 연수구에 따르면 인천 지자체 최초로 ‘공동주택 관리 지원 조례 개정안’을 통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상으로 이전하는 비용을 지원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구는 원도심 아파트 17개 단지와 송도동 9개 단지를 지원 후보 대상지로 삼는 한편, 사업비 4억5천여만 원을 확보했다.
구는 이들 단지를 대상으로 신청서를 접수하고, 심의위원회에서 타당성 검토와 현장 조사를 거쳐 지원 대상 단지를 선정했다.
그 결과 보조금을 받게 된 단지는 5개에 불과했다.
한 공동주택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로 지하 시설을 지상으로 옮겨 달라는 요구는 많았지만 지상엔 마땅한 공간이 없는 데다 설치 계약 변경도 어려워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상으로 이전하려면 반대하는 입장도 많아서 입주민 투표를 진행해야 하는데, 모든 비용을 지원해 주지 않는 이상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기차 보급률을 보인다. 전체 등록 차량 23만 대 중 3.4%인 7천900대(올 8월 기준)가 전기차로 전국 평균(2.37%)보다 1.03%p 높다.
더욱이 주거형태의 85%가 아파트이고, 전기차 충전시설은 83.7%가 지하주차장에 있어 화재에 따른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송도동은 지역 특성상 충전시설의 절대다수가 지하주차장에 설치됐다.
주민들은 단지 내 교통사고 등 위험성을 이유로 택배 자동차나 배달 오토바이 등의 지상 이동을 철저히 금지한다. 지상에 주차장이나 충전시설을 들일 부지도 마땅치 않아 전기차 충전시설 이전에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구가 조례를 개정할 당시부터 ‘단기 대책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기호일보 8월 27일자 4면 보도」가 있었다.
구 관계자는 "송도는 몇 개 단지가 신청했다가 자부담에 대한 부담이 커서 나중에 취소한 단지들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충전업체들이 신규 설치하면 비용을 지원해 주는데, 굳이 자기 비용을 들여서까지 이전 설치하는 것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던 것으로 안다. 송도는 지상 공간이 충분치 않는 등 이유로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에는 공동주택지원사업 예산도 늘려 전기차 화재예방시설과 물품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민영 기자 smy@kihoilbo.co.kr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