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X 떠난다"…정치 이슈發 ‘디지털 피난’ 봇물
||2024.12.08
||2024.12.08
기존에 사용하던 메신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이탈하는 이용자가 늘어나는 분위기다. 기존에 사용하던 플랫폼이 정치적 이유로 차단되고 정보 공유, 소통, 표현의 자유 등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령 선포하자 주요 플랫폼에서는 디지털 피난이 이어지고 있다. 헌법이 보장한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통신의 자유가 언제든 제한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실제 비상 계엄령 선포로 최근 해외 메신저 플랫폼 ‘텔레그램’의 다운로드 순위가 급등했다.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12월 4일 오전 8시 기준 텔레그램은 애플 앱스토어 무료앱 순위 3위를 기록했다. 텔레그램은 12월 3일 오전 8시까지만 해도 무료앱 59위를 기록 중이었다.
업계는 비상 계엄령으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사용하던 이용자들이 정부로부터 검열을 받거나 이용 자체가 차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한다.
정치 이슈로 인한 디지털 피난은 국내에서만 발생하는 일은 아니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다시 대권에 오르면서 새로운 SNS ‘블루스카이’로 이용자들이 몰리는 디지털 피난이 일어났다.
블루스카이는 잭 도시 트위터 공동창업자가 2019년 사내 프로젝트로 설립한 플랫폼이다. 최근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12월 4일 기준으로 24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상태다.
블루스카이의 인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으로 지명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글로벌 SNS X(구 트위터)를 소유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 CEO가 도널드 트럼프 정부 시작과 동시에 X에 게시되는 반정부 콘텐츠들을 전부 검열할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다.
업계선 이용자들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우려가 실제로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가 계엄령 선포 등 정치 이슈로 직접 통신을 차단하거나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플랫폼을 검열할 근거가 법적으로 규정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현행 계엄법 제9조에 따르면 비상계엄지역에서 계엄사령관이 군사상 필요할 때에는 체포, 구금, 압수, 수색, 거주, 이전, 언론, 출판, 집회, 결사 또는 단체 행동에 대해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민간 기업의 단속이나 검열 등에 대해서는 명시돼있지 않다.
이번 비상 계엄령으로 내려진 계엄사령부 포고령에도 모든 언론,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고 사회혼란을 조장하는 파업, 태업, 집회행위는 금지한다고 밝혔으나 민간 기업의 단속이나 검열 등은 언급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정치 이슈가 확실히 해소되기 전까지는 디지털 피난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 이슈로 시민들의 긴장감은 여전하고 상황이 극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계엄령 이후 탄핵 등 정치 이슈가 연이어 일어나 상황이 극에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의 이동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로 민간기업의 플랫폼을 검열하는 등의 경우는 불가능에 가깝다”며 “그럼에도 정치적 이슈가 해소가 되는 조짐이 보이기 전까지는 검열이나 통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 다른 플랫폼의 이용에 적극 나설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송가영 기자 sgy0116@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