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차가 ‘반도체 전설’ 짐 켈러(사진)가 이끄는 인공지능(AI) 칩셋 개발 업체 텐스토렌트에 7억 달러 가량을 추가 투자했다. 이번 투자에는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도 참여해 텐스토렌트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일(현지 시간)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삼성전자·LG전자·현대차와 베조스 익스페디션·피델리티 등으로부터 총 7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텐스토렌트는 추가 자금을 설계 인력 채용과 대규모 AI 서버 구축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켈러 CEO는 AMD에서 ‘라이젠’ 중앙처리장치(CPU)를, 애플에서 ‘A’ 시리즈 모바일AP를 설계한 인물이다. 텐스토렌트에서는 RISC-V 기반으로 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함께 설계해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기존 AI 가속기를 대체하려 한다. RISC-V는 모바일 CPU에 주로 쓰이는 ARM 기반 설계자산(IP)과 유사한 형태의 저전력·고효율 반도체 설계 방식이다. ARM과 별개인 오픈소스로 개발돼 IP 사용료를 낼 필요가 없어 최근 반도체 설계 양식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텐스토렌트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대신 일반 D램을 사용해 기존 AI 가속기를 대체할 수 있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켈러 CEO는 “엔비디아가 가장 많은 HBM을 구매하고 비용적 이점을 지니기에 HBM을 사용해서는 엔비디아를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은 텐스토렌트의 초기 투자사다. 삼성전자는 텐스토렌트의 차기 칩셋을 TSMC와 공동 수주하는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블룸버그는 “텐스토렌트의 두번째 칩셋이 내년부터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대량 생산에 돌입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