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1500여종 공공 서비스 한 곳에 모은다"
||2024.11.14
||2024.11.14
지난해부터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추진하던 공공서비스 사이트 통합 작업이 2년 뒤인 2026년 완료될 전망이다. 증명서를 발부하거나 세금신고, 복지 서비스 신청 등 업무를 모두 한곳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장은영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기획총괄 과장은 1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 'DPG 컨퍼런스'에 참석해 그간의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과와 향후 이행 과제를 발표했다.
장 과장은 "국민 행복 플랫폼, 기업 성장 플랫폼, 정부 혁신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다양한 과제를 이행해 국민 편익을 극대화했다"라며 "내년 초에는 범정부 서비스 통합 창구를 통해 국민생활에 밀접한 5개 분야 서비스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022년 7월 1일 출범해 모든 데이터가 융합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기업·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출범 후 2년반이 디플정위가 올해 일군 성과는 정부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 지원, 행정서비스 통합창구 구축, 공공부문 마이데이터 구축 등 구비서류 제로화 등이 있다. 총 938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다방면으로 정부 시스템 혁신을 이뤘다고 장 과장은 평가했다.
디플정위는 당초 목표한 과제를 이어나가 2026년까지 증명서, 세금신고, 복지신청 등 1500여종 서비스를 연계하고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장은영 과장은 "110년만에 인감증명을 디지털로 대체해 올해 6월까지 924건의 불필요한 인감증명 요구 서류를 정비했다"라며 "내년까지 인감 요구사무 2145건을 감축을 목표로 인감증명 시스템 과제를 지속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구비서류 제로화 과제 또한 지난 10월까지 행복출산, 청년창업 지원 등 360종 제로화를 완료했다. 디플정위는 2026년까지 1498종의 공공 서비스 신청시 발급·제출하는 관공서 서류를 완전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과제 이행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민간·공공 데이터와 서비스를 안전하게 연결해 활용활 수 있는 'DPG 허브' 사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디플정위는 내년 1분기까지 분산돼있던 정부 제공 데이터와 디지털 서비스 활용 채널을 일원하는 작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디플정위는 사업 효율성을 높이고자 각 부처별 협력관계를 공고히 해나가고 있다. 범부처 대응, 일종의 원팀으로서 데이터 공유를 원활히 하고 각종 민원 및 공공 시스템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초거대 공공AI 구축이 대표적 예로, 도시철도 현장근로자 안전 GPT, AI 민원상담 지원 등 70건의 성공사례를 창출했다.또 공공부문 초거대AI 도입과 활용 가이드라인도 지난 4월 마련했다. 행정부와 사법부간 디지털 연계에도 나서, 가족관계증명서 데이터방식 공유로 청약자격 자동확인도 가능해졌다. 내년 1월까지는 부동산 등기시 데이터 연계로 인감정보 확인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광주=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