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들 뒷목 잡았죠’.. 도로 위 자전거 동호회, 역대급 민폐 짓 시작
||2024.10.26
||2024.10.26
가을철 자전거 이용자가 늘면서 차량과의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며 자전거 이용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자전거와 차량 간의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 사례도 함께 늘어나고 있어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새벽 2시경, 인천 계양구의 편도 4차선 도로에서 50대 운전자 A씨가 앞서 자전거를 운전하던 60대 B씨를 뒤에서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B씨는 사고 직후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결국 사망했다. A씨는 “자전거를 미처 보지 못했다”라고 진술했으며, 경찰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한국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자전거 운전자와 관련된 교통사고가 총 3만 9,659건 발생했고 이로 인해 535명이 사망했다. 특히 가을철인 10월에는 관련 사고가 집중되어 지난해 10월에만 866건의 자전거로 인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7명이 목숨을 잃고 917명이 부상을 당했다.
자전거는 자동차와 도로를 공유할 수 있지만 그 속도가 느리고 가시성이 낮아 사고 가능성과 피해가 크다. 자전거는 법적으로 도로의 오른쪽 가장자리로 주행해야 하지만 갑작스럽게 차도 가운데로 나오는 경우도 있어 도로 위 질서 저해가 우려된다.
최재원 한국도로교통공단 교수는 “자전거 이용자는 야간 주행 시 반사 장치와 적색 깜빡이 설치, 밝은 옷 착용 등을 통해 가시성을 확보해야 하며 자동차 운전자들도 자전거의 존재를 인지하고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함께 본 기사: 중고차 보다 더 싸게 판다? 화재의 벤츠, 역대급 할인 폭격 시작!
한 이용자는 “가을은 자전거를 타기 좋은 계절이지만, 자전거 도로가 부족해 일반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차량과의 사고 위험이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주행 중에도 항상 뒤를 돌아보며 신경을 곤두세운다”라며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들의 불안감을 나타냈다.
반면 자동차 운전자들은 “반사 장치 등이 없는 자전거가 차도로 갑자기 튀어나올까 봐 늘 걱정이 된다”라고 하소연했다. 이어 “안전 운전을 하는데도 갑작스러운 자전거의 등장에 사고가 나면 대부분 자동차 과실이 더 크기 때문에 억울할 때도 많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일각에서는 자전거 이용자들이 교통법규 준수에 대한 책임감이 덜한 부분을 지적한다.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에서 정한 차에 해당하기 때문에 차량 법규를 따라야 하지만, 대부분의 이용자는 이 사실을 모르고 주행을 즐기기 때문이다. 인도와 횡단보도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은 불법이며, 전용도로가 없다면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주행해야 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