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 “어떤 제조 데이터로도 AI 적용 가능하다”
||2024.10.24
||2024.10.24
“제조산업에 있는 기업들이 AI(인공지능)를 잘 못하는 이유는 정제된 데이터가 없어서가 아니다. 지금은 어떤 형태의 데이터로도 해볼 수 있는 시대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ATTENTION(어텐션) 2024’ 컨퍼런스에서 제조산업에서의 AI 도입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 같이 말했다. 어텐션 2024는 산업 특화 AI 기업인 마키나락스가 개최한 컨퍼런스로 24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렸다.
윤성호 대표는 “LLM(대규모 언어모델)이 나오기 전에는 딥러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생성형 AI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졌다. 가령 표준화 되지 않은 주문서를 표준화 하거나 설계도 안에서 원가를 책정해야 하는 부분도 이전에는 사람이 직접 했으나 지금은 생성형 AI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좀더 쉽게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 ‘인셉션’을 소개했다. 인셉션은 ▲해결 과제 선정과 실행 방안 도출 ▲AI 운영 환경 구성 및 AI 모델 개발 ▲시범 운영 및 모니터링과 개선 등의 과정을 3개월 내에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는 마키나락스의 AI 플랫폼 ‘런웨이’, 산업 특화 AI 개발 노하우 등이 반영된다.
윤성호 대표는 “국내 제조기업이 7만개 정도 된다. 이 기업들 가운데 상당수가 AI 도입으로 가는 길을 멀게 느끼고 있을 것이다. 인셉션이 적용되면 AI를 적용하는 기업이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근 AI 시스템의 방향성과 관련해서는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여러 구성요소가 포함된 복합적인 AI ‘컴포넌트 AI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컴포넌트 AI 시스템은 AI 모델, 데이터베이스, 외부 도구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통합해 AI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심상우 마키나락스 CTO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컴포넌트 AI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런웨이를 소개했다. 런웨이는 데이터옵스, ML옵스, LLM옵스, 외부 도구 연동 등 여러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AI 개발 시스템이다.
심상우 CTO는 “기업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I 모델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 ML옵스를 넘어 모든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초연결성이 필요하다”며 “멀티모델 데이터, 복수의 AI 모델, 기업 내 시스템, 외부 툴, 현장 전문가 그리고 AI를 연결하는 런웨이가 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마키나락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런웨이의 새로운 버전 ‘런웨이 라이트’도 공개했다. 라이트 버전은 복잡한 인프라와 서버 설정 없이 간편하게 AI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AI 도입이 부담스러운 중소 제조기업들에게 적합하다는게 마키나락스의 설명이다.
윤성호 대표는 “진정한 AX(AI 전환)를 위해서는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가 적용되어야 한다”며 “AI가 불러올 파급력은 사무 보조를 넘어 기업의 생산성 및 비용과 직결되는 연구개발, 생산·품질, 공급망 관리, 유통·물류 등 물리적 세계에서 전례 없던 수준의 생산성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조상록 기자 jsrok@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