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AI 점점 중요해질 것...데이터 역량으로 산업 특화 AI 주도"
||2024.10.24
||2024.10.24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가 복합 AI(Compound AI)를 앞세워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마키나락스는 24일 JW메리어트호텔에서 자체 AI 컨퍼런스 '어텐션(ATTENTION) 2024'를 열고 제조업 시장 공략을 위한 복합 AI 기술과 시스템(Compound AI System)인 '런웨이' 기술과 비전을 공유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마키나락스가 강조하는 복합AI에서 핵심 요소는 데이터옵스, ML옵스, LLM옵스, 외부 툴들과 연동이다. 이들 요소들이 버무려진 상황에서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게 마키나락스 설명이다.
데이터옵스는 AI 모델에 기업 고유 데이터를 연결해 의미를 부여하는 게 골자고 ML옵스는 머신러닝(ML) 모델에대한 안정적인 개발 및 배포,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한다. LLM옵스는 다양한 LLM 모델을 효과적으로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외부 툴과 연동은 AI를 보다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환경에서 쓰는 결과로 이어진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CEO는 "앞으로 AI 개발에서 복합AI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AI 모델과 함께 중요한 것은 AI 소프트웨어"라며 "런웨이는 이런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하이 커넥티드 AI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어텐션 2024 행사에는 LG, SK텔레콤, 현대자동차그룹(KIA) 등도 참여해 런웨이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해 타이어 신제품 개발 기간을 최대 50% 단축하고, 철강 생산 공정 에너지 제어로 사용량을 2% 효율화하는 등 생산성이 증대된 사례들이 공개됐다. 산업 특화 LLM을 적용해 고객 주문서 표준화 시간을 60% 단축한 사례, 식품 유통 가격을 예측해 점포별 매장 이익이 3% 증가한 사례 등이 관심을 끌었다.
마키나락스는 자사 경쟁력으로 산업 분야 지식을 지원하는 역량도 강조했다. 윤성호 CEO는 "산업 특화 AI에서 중요한 것은 해당 분야 지식 자체를 많이 아는것 아니라 지식을 솔루션에 반영할 수 있는 역량"이라며 "그동안 여러 업체들과 협력하며 산업용 데이터를 봐왔고 이를 기반으로 솔루션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마키나락스는 기업들이 인프라에 대한 고민 없이 바로 쓸 수 있도록 런웨이 플랫폼을 경량화한 런웨이 라이트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런웨이 라이트는 제조 현장 외에 기업내 팀단위나 대학 연구실 규모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마키나락스는 기업 AI 도입을 위한 AI 퀵윈(Quick-Win) 프로그램 ‘AI Inception(인셉션)’도 공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AI 시작이 어려운 기업을 위해 짧은 기간 내에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해 빠르게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키나락스 AI 플랫폼 ‘런웨이’, 산업 특화 AI 개발 노하우,산업 분야 경험을 결합해 AI 전문가들이 과제 발굴부터 AI 구현과 적용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이끌며 사례를 만들게 된다고 마키나락스는 설명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