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수출기업 이메일 해킹 송금 사기 주의보
||2024.09.26
||2024.09.26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외교부가 이메일 해킹을 통해 송금계좌를 변경하는 사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26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9월 중순 외교부는 해외안전공지를 통해 “최근 무역대금 외환 송금 관련해 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로 이메일 해킹을 통해 송금계좌 변경을 안내하고 변경된 계좌로 대금을 송금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안 업계 등에 따르면 이같은 사기는 잊을만하면 다시 나타나고 있다. 과거 외교부는 2012년 8월 스페인, 2015년 3월 폴란드, 2015년 4월 인도네시아, 2018년 3월 멕시코, 2020년 5월 포르투갈, 2020년 6월과 12월 네덜란드 등에서 이메일 해킹 송금 사기가 발생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 외교부는 특정 국가가 아니라 전체 국가 대사관과 체류 한국인 등을 대상으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해커들이 유사한 범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해커들은 해외 무역을 하는 기업의 이메일을 해킹해 해외 거래 기업과 송금 정보 등을 확인한다. 이후 해외 거래 기업이나 해외 은행 등을 사칭해 이메일 등으로 연락한 후 '세무 감사', '은행 계좌 폐지' 등의 이유로 송금 계좌 등이 바뀌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커들이 사전 해킹으로 기업 정보, 송금 정보 등을 파악하고 접근하기 때문에 피해 기업 관계자들이 속아 넘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기업 관계자들은 해커들이 제시한 해외 계좌로 돈을 송금한 후 나중에 피해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외교부는 한국 기업 관계자들이 무역대금 송금 시에는 수취인 계좌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계좌정보가 변경된 경우 반드시 해당기업에 유선으로 연락해 변경내용을 확인하고 송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정부 관계자들은 해커들이 가짜 은행사이트를 만들어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송금 정보 확인을 해야 한다며 사이트 접속이나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경우 그에 응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