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K셀러 B2C 역직구 진출 선언...1.5억명 고객에 ‘글로벌 셀링’
||2024.09.25
||2024.09.25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알리익스프레스(알리)가 10월부터 국내 셀러들의 해외 판매를 돕는 '글로벌 셀링'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모기업 알라바바 산하 알리바바닷컴의 기업간거래(B2B) 해외 직접판매(역직구) 시장 진출에 이어 기업대고객(B2C) 역직구 시장에서도 선제적으로 접근한다는 전략이다.
25일 알리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1회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셀러 포럼'을 개최하고 "K베뉴와 함께 글로벌 성장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알리의 글로벌 셀링 프로그램은 우선 미국, 스페인, 프랑스, 일본을 대상으로 한다. 향후 지역은 확대될 수 있고, 인프라, 지불능력, 해당 국가에서의 K제품에 대한 인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는 설명이다. 알리의 K베뉴에 입점한 국내 셀러들은 한국 시장에서의 판매와 동시에 알리가 운영하는 국가 내 1억5000만여명의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레이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대표는 "알리바바 인터네셔널로 커버할 수 있는 인원은 1억5000만명에 달한다는 점이 타사와의 차별점이자 우리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한국 셀러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장기적 목표다"고 말했다.
알리는 K베뉴 셀러들의 글로벌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모든 셀러를 대상으로 5년 간 수수료 및 보증금 면제 정책을 실시할 예정이다.
레이장 대표는 "글로벌 셀링은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알리의 바람을 담은 프로젝트다. 더 많은 셀러들의 해외 진출 통로가 되고자 하며 GMV 목표를 떠나 초기에는 셀러들의 편의성을 확충하는데 우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산, 고객관계관리(CRM), 프로모션 운영 등에 있어 셀러 친화적인 시스템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플랫폼 판매기획자(MD)에게 상품을 제안하고 입점을 기다리는 기존 이커머스 플랫폼의 상품 노출 형식과 달리, 트래픽과 개인화 추천에 기반한 상품 노출이 가능해 셀러가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는 설명이다.
또 다양한 언어 시스템을 지원해 한국어 지원 백엔드, 다국어 번역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 고객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게 알리의 전략이다. 고객 서비스의 자동번역 기능을 통해 셀러들이 겪을 수 있는 언어 장벽을 허물 수 있다는 것이다.
레이장 대표는 "엔데믹 이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중동 등에서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있고 인터넷 구매가 늘어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알리는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저경험이 정말 중요하고 셀러경험도 중요하다"라며 "이를 위해 물류, 페이, 번역 시스템이 필요하고 갖춰져야만 전세계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행 초기 알리는 국제적 인기를 끌고 있는 K뷰티와 K패션 카테고리에 집중해 국내 셀러들의 판매를 촉진한다는 설명이다. 이후 K푸드, K팝 등 국내 상품의 해외 판매를 넓혀 갈 방침이다.
레이장 대표는 "한국의 핵심 카테고리들에서 80%의 셀러들이 해외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해당 카테고리는 해외 판매실적과 반응이 굉장히 좋다. 많은 경쟁력 있고 운영능력이 뛰어난 경쟁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