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핫이슈] 자율 AI 에이전트 몰려온다...SaaS 가격구조 파괴?
||2024.09.12
||2024.09.12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사람 개입 없이 AI가 다양한 작업들을 처리하는 이른바 AI 에이전트를 향한 유력 업체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오류에 따른 리스크가 있음에도 기업 시장을 보다 깊숙하게 파고들려면 AI 에이전트에 기반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세일즈포스가 기업용 AI 시장 지분 확대를 위해 사람들 대신 번거로운 작업들을 수행하는 자동화 플랫폼인 인더스트리얼 AI(Industries AI)를 선보였다. 회사측에 따르면 인더스트리얼AI는 세일즈클라우드, 데이터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커머스 클라우드, 마케팅 클라우드 포함해 세일즈포스 15개 플랫폼 모두에 내장된다. 세일즈포스는 복잡한 세일즈 작업들을 처리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하는 xGen-세일즈(xGen-Sales) 프리뷰와 거대 액션 모델(large action models)인 xLAM도 공개했다
ㆍ세일즈포스, 인더스트리얼AI 공개..."자동화 AI 에이전트가 답이다"
ㆍ기업 생성형 AI 시장, 점점 에이전트 중심 재편...세일즈포스, 거대 액션 모델 띄운다
ㆍ세일즈포스, 서비스 클라우드에 자율 AI 에이전트 투입..."고객 지원 업무 자동화"
앞서 IT서비스 업체 삼성SDS도 생성형 AI 시장 지분 확대를 위해 GPU 중심 AI 클라우드와 AI 에이전트를 키워드로 들고 나왔다. 황성우 삼성SDS 대표는 "에이전트는 AI로 일부 업무 프로세스를 본격적으로 자동화하는 수준이며, 오토노머스 에이전트는 모든 업무 처리는 AI가 담당하고 사람은 업무 기획 및 결과를 판단하는 일에 집중하는 단계"라며 "생성형AI 기반 언어 인터페이스는 코파일럿에서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ㆍ"생성형AI 시장, 코파일럿 넘어 에이전트 시대로 진화한다"
GPU 중심 AI 클라우드(GPU Centric AI Cloud)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기업들을 지원하고 업무를 보조하는 코파일럿 개념을 넘어 특정 작업을 자동화하는 AI 에이전트 솔루션 제공에 본격 나선다.
시장 조사 업체 가트너도 AI에이전트를 향후 생성형 AI판을 주도할 키워드로 정했다. 가트너는 “자율 에이전트는 AI 역량에서 큰 변화를 의미한다"며, “독립적인 운영 및 의사결정 기능을 통해 비즈니스 운영을 개선하고,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며,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조직 내 인력의 역할을 단순 업무 수행에서 감독 역할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ㆍ멀티모달·오픈소스·특화·에이전트 주목하라...가트너 생성형AI 보고서 발표
생성형 AI를 직접 개발하거나 활용하려는 국내외 테크 기업들 행보는 이번 주에도 계속됐다.
LG전자는 고객이 생성형 AI와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AI가 고객과 공간을 이해해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AI홈 시대 개막을 선언했다. LG전자는 AI홈에서 ▲AI와 일상 언어로 편리하게 소통하고 ▲기존 가전을 AI가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단순한 가전 제어를 넘어 다양한 서비스까지 확장해 글로벌 AI홈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ㆍLG전자, 음성 중심 'AI 홈' 시대 연다...오픈AI 기술도 투입
삼성SDS는 생성형 AI를 소재로 한 웹드라마 ‘자, 이젠(Gen) AI(시)작이야’를 제작해 공개한다. SK C&C는 하반기 신입 채용 전 과정에 AI 채용 에이전트(Agent)를 도입해 잠재 역량이 있는 미래 AI DX 전문가를 발굴할 계획이다. AI 채용 에이전트는 서류 심사와 면접 과정에서 지원자가 보유한 장점을 집중적으로 파악해 알려주는 역할을 맡는다.
ㆍ삼성SDS, 웹드라마로 생성형 AI 알린다… ‘자, 이젠(Gen) AI작이야’ 공개
ㆍSK C&C, 하반기 신입 공채...전 과정에 AI에이전트 도입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기업 유베이스 그룹은 SK텔레콤 AICC(AI Contact Center) 파트너로 선정돼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 메타넷디엘은 인공지능(AI) 기반 문서중앙화(ECM) 솔루션 '솔메(SOLME) AI'를 출시했다. 리걸테크 기업 로앤컴퍼니는 AI 트랜스포메이션 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트랜스포메이션 위크(Microsoft AI Transformation Week)’에 참석해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법률 비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ㆍ유베이스 그룹, SKT AICC 파트너 선정...관련 기술 제공
ㆍ메타넷디엘, AI 기반 문서중앙화 솔루션 'SOLME AI' 출시
ㆍ법률 특화 AI 서비스서 어떻게 환각을 최소화했나...로앤컴퍼니, MS 행사서 사례 소개
업스테이지가 올 11월 출시 예정인 자사 차세대 LLM ‘솔라 프로(Solar Pro)’ 초기 테스트용 모델인 ‘솔라 프로 프리뷰(Solar Pro Preview)’ 버전을 공개한다. 커리어 성장 커뮤니티 코멘토가 기업 업무 생산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솔루션 포텐스닷(Poten)을 출시했다. 티오더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에서 개최한 AWS Gen AI(생성형 인공지능) 대회에서 한국 기업 중 1위, 글로벌 3위를 기록했다. 솔트룩스는 최근 선보인 구버 엔터프라이즈('GOOVER Enterprise)로 기업용 AI 검색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엔젤리그가 AI 영상제작 서비스 ‘패스트 컷 AI’를 출시했다고
ㆍ업스테이지, 차세대 LLM ‘솔라 프로' 프리뷰 공개...매개변수 220억개·1개 GPU로 구동
ㆍ코멘토, 생성형 AI 솔루션 '포텐스닷' 출시
ㆍ티오더, 스타트업 대상 'AWS Gen AI 게임 대회'서 한국 1위·글로벌 3위
ㆍ솔트룩스, 구버 엔터프라이즈로 기업용 AI 검색 시장도 노크
ㆍ엔젤리그, AI 영상제작 서비스 ‘패스트컷AI’ 출시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는 기업들이 AI 애플리케이션을 대규모로 쉽게 활용 및 구축할 수 있도록 스노우플레이크 코텍스 AI(Snowflake Cortex AI)에서 라마 3.1를 지원한다. 어도비는 비디오 생성 AI 모델을 올해안에 선보인다. 파이어플라이 비디오 생성AI는 오픈AI 소라, 런웨이 젠-3 알파(Gen-3 Alpha) 비디오 생성 AI 모델들을 겨냥한 행보다.
ㆍ스노우플레이크, AI 앱 개발 플랫폼 '코텍스 AI'서 라마 3.1 최적화
ㆍ어도비 비디오 생성 AI 모델, 올해 안에 나온다
엔터프라이즈 AI 검색 기업 글린 테크놀로지스는 회사 가치 46억달러 규모에 2억6000만달러 규모 시리즈 E 투자를 유치했다. 한국어 기반 거대언어모델(Ko-LLM)을 개발하는 트릴리온 랩스(Trillion Labs)가 420만달러 (약 57억원) 규모 프리-시드 투자를 받았다.
ㆍ엔터프라이즈 AI 검색 검색 글린, 46억달러 가치에 2억6000만달러 투자 유치
ㆍ한국 특화 LLM 스타트업 ‘트릴리온랩스, 57억원 프리시드 투자 유치
오픈AI는 챗GPT 기업용 제품인 챗GPT 엔터프라이즈 유료 사용자가 10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4월 60만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오픈AI가 향후 선보일 거대 언어 모델(LLM)들에 대한 구독료를 논의 중인데, 지금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는 얘기도 있어 주목된다. 오픈AI는 회사 가치를 1500억달러 가치로 잡고 투자도 유치 중이다. 현실화될 겅우 오픈AI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스타트업 지위를 굳히게 될 전망이다.
ㆍ기업용 챗GPT 엔터프라이즈 사용자 100만명 돌파...4월 60만명서 증가
ㆍ오픈AI, 차세대 챗GPT 구독료 확 올린다?...월 2000달러짜리 얘기도
ㆍ오픈AI, 1500억달러 가치로 65억달러 투자 유치 중...대출로 50억달러 추가 조달
글로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업체 레드햇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성형 AI 개발을 위한 전용 파운데이션 모델(dedicated foundation model: FM) 플랫폼을 선보인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레드햇(Red Hat)과 협력해 ‘RHEL AI를 델 파워엣지(Dell PowerEdge) 서버에서 지원한다.
ㆍ레드햇, 'RHEL AI' 공식 출시..."기업 시장은 저비용 소형 LLM이 미래"
ㆍ델, 레드햇과 오픈소스 파운데이션모델(FM) RHEL AI 확산 협력
애플이 애플판 생성형AI, 애플 인텔리전스를 선봉으로 내걸고 아이폰16 시리즈를 공개했다. 생성형AI 레이스에 뒤늦게 뛰어든 애플이 애플 인텔리전스로 테크판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지 주목된다.
ㆍ[테크인사이드]오픈AI와는 달라...애플 인텔리전스만의 관전포인트
AI 확산 속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업계에서 주류 과금 모델인 정액제 또는 사용량 기반 요금제 대신 성과 기반 가격 모델(outcome-based pricing)를 도입하는 회사들이 등장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관련 업계 행보는 많은 기업들이 IT비용을 절감하려는 가운데, 고객들이 AI에 보다 쉽게 지갑을 열도록 하려는 전술로도 풀이된다.
ㆍAI, 구독 중심 B2B SaaS 가격구조 파괴할까?...성과 기반 요금제 확산
클라우드 업계에선 오라클의 멀티 클라우드 전략이 눈에 띈다. 오라클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 클라우드를 통해서도 자사 핵심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오라클은 OCI 생성형 AI 에이전트(OCI GenAI Agents)도 정식 출시했다. OCI 생성형 AI 에이전트는 검색증강생성(RAG) 기능 오라클 AI(Oracle AI) 기능을 통해 AI를 실제 비즈니스 운영에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라클이 자사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개발 플랫폼들에 걸쳐 AI 기능들도 대거 발표했다.
ㆍ아마존-오라클 동맹 확대...AWS서 오라클 핵심 DB 서비스 돌린다
ㆍ오라클, 생성형 AI RAG 에이전트 서비스 출시...RAG 구현 간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