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인터넷 접속장애 원인, 안랩 방화벽 문제로 추정
||2024.09.06
||2024.09.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날 발생한 인터넷 접속 장애와 관련해 원인조사에 착수했다. 현재까지 조사 결과 보안전문기업 안랩의 방화벽 소프트웨어(SW) 교체 작업 과정에서 일부 무선공유기에 네트워크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4시57분부터 저녁 9시58분까지 5시간동안 전국적으로 인터넷 접속이 안되는 먹통 사태가 발생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보안 SW 업체의 방화벽 교체작업 시 인터넷 트래픽이 과다 발생했고 일부 무선공유기에서 해당 트래픽을 처리하지 못해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현재까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안SW 업체는 안랩, 장애가 발생한 무선공유기 모델 제조사는 머큐리와 아이피타임이다.
안랩이 보안 SW 업그레이드 작업 과정에서 패킷 단위를 높게 설정하면서 다량의 패킷이 전송됐고 이를 일부 공유기에서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오류가 발생한 것이 현재까지 밝혀진 장애 원인이다. 패킷은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 전송단위다.
머큐리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성능 개선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 적도 없는데 갑자기 장애가 발생했다”면서 “보안SW 업체에서 해당 작업을 원복했더니 정상화됐다”고 말했다.
안랩 측은 “문제가 발생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사들이 업데이트를 한 것으로 안다. 내부적으로 정확한 장애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특정 공유기에만 취약점이 나타난 것일 수도 있는 만큼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확한 원인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통신 3사는 자사의 홈페이지 및 고객센터를 통해 장애 신고를 접수하고 있다. 장애가 지속될 시 이용자의 조치사항도 안내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와 KT는 정확한 피해규모 파악 뒤 요금감면 등 보상대책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직접 구매한 사설 공유기(IPTIME)에서 문제가 발생한 만큼 따로 보상을 진행하지 않는다.
과기정통부 측은 “통신사와 24시간 비상 연락 체계를 가동하여 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관련 전문가와 함께 이번 장애 원인을 철저하게 조사해 유사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