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012330)가 자동차 핵심 부품의 원천인 소재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 재활용·바이오 소재를 활용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고성능·고효율의 소재를 개발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현대모비스는 27일 지속가능한 소재와 혁신 소재, 디지털 재료 등을 골자로한 ‘3대 소재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재료를 재활용하거나 바이오 소재를 활용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은 2030년부터 신차에 들어가는 플라스틱에 재활용 소재를 25% 이상 사용하도록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맞춰 현대모비스는 최근 차체 하단의 긁힘을 방지하는 로어암 보호커버 개발에 성공했다. 이 제품은 재활용 플라스틱 함량이 50%에 이르지만 기존 제품과 동일한 물성을 갖췄다.
현대모비스는 운전석(칵핏) 모듈과 램프, 에어백 등 플라스틱 소재를 많이 활용하는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신소재 30여종도 개발하고 있다. 친환경 바이오 분야에서도 목재를 활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은 줄이고 내후성(열·자외선에 변색되지 않는 성질)을 강화한 친환경 소재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기차 분야에선 신소재 개발로 희소금속인 니켈 사용을 최소화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전기차용 전력변환 핵심부품인 인덕터에 들어가는 니켈 함유량을 기존 50%에서 30%대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세계 최초로 니켈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니켈프리’ 신규 소재도 개발해 평가를 진행 중이다. 최근 10년 사이 니켈 가격이 6배가량 급등했는데 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소재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고속충전용 배터리 냉각기술, 전자파 차폐 소재, 자율주행 센서 표면 코팅기술 등 전동화와 전장부품 전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할 신규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디지털재료 기술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전통적인 소재 분야에 정보통신(IT) 기술을 융합하는 방식이다. 자동차부품에 들어가는 다양한 소재 특성을 가상으로 구현해 정합성을 높이고 있다.
김미로 연구개발(R&D)기반 기술연구실장 상무는 “소재를 다원화하고 대외 의존도를 낮춘 혁신소재를 개발해 모빌리티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