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타는데 이게 무슨 일” 싸다고 좋아했더니…서민들 ‘발칵’
||2024.08.22
||2024.08.22
최근 발생한 여러 사고로 ‘전기차 포비아’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중교통 내 전기차 사용이 증가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의 우려가 커지는 중이다.
특히 전기버스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차량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5일 자동차 통계 전문 기관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운행 중인 버스 7만 8045대 중 6772대(8.7%)가 전기차다. 택시의 경우 총 22만6834대 중 전기차는 3만2928대(14.5%)에 달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판매 전기버스 총 2815대 중 1522대가 중국산이다. 이는 전체의 54.1%를 차지하며 국산 전기버스는 1293대로 45.9%를 기록했다.
중국산 전기버스의 신규 등록 비중은 2017년 25.5%에서 2020년 33.2%, 2021년 27.8%, 2022년 41.8%, 2023년에는 54.1%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차고지에는 전기버스와 택시, 거점시설(차고지 및 물류센터)에는 영업용 전기화물차량의 충전 설비가 마련돼 있어, 비영업용 전기화물차와 개인택시를 제외한 이들 전기차량은 대부분 기업이 소유한 지상 주차장에서 관리된다.
다만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전기차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모두 국산인 전기택시와 달리, 전기버스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2687대로 전체의 39.7%를 차지한다.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중국산 전기버스는 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한다. 이로 인해 니켈-코발트-망간(NCM) 삼원계 배터리를 사용하는 국산 전기버스에 비해 가격이 약 1억 원 정도 낮다. 이전에는 전기버스 보조금이 최대 7000만원까지 지원됐다.
국산 전기버스에 비해 저렴한 중국산 전기버스는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혜택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왔다.
올해 환경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개편해 리튬인산철 배터리 장착 전기버스의 보조금을 최대 60%까지 삭감했으나, NCM 배터리 차량에 대한 혜택은 유지했다.
올해 상반기 신규 등록된 전기버스 총 1076대 중 국산은 638대로 59.3%를 달성했다. 중국산은 438대로 40.7%를 기록했다. 지난해에 비해 중국산 차량이 감소했으나 보조금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9월 발표할 전기차 화재 예방 종합 대책을 통해 안전성 검사를 강화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배터리 인증제 시행 시 일반 승용차 외 영업용 전기차의 안전 관리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배터리 제조사 공개만으로는 전기차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어렵다”며 “충전율 제한을 85~90%로 설정하고 충전시설 내 화재 대응 기술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