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비 적다고 샀는데”…전기차 충전 요금 오르고 할인 줄고
||2024.08.20
||2024.08.20
곳곳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전기차 관련 사고와 충전 요금 인상 등이 겹치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큰 폭으로 줄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배출규제를 강화하고 디젤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몰아내는 등 내연기관이 배출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전기차 보급이다. 각국은 전기차가 최고의 친환경 자동차라 홍보하며 확산에 힘을 써 왔다.
대한민국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이라는 흐름에 발맞춰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높은 경제성을 강조했다. 여기에 대규모 보조금 지원, 조기 폐차 비용 지원, 충전 요금 할인 정책도 벌이며 전기차 구매를 부추겼다.
전기차 보급 확대는 순탄하게 흘러가는 듯 보였지만 최근 전기차 충전 요금이 오름세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기차 충전 요금 상승은 지난 2022년 이후 전기차 충전 사업자들이 최대 30%까지 요금을 올린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EV 충전 플랫폼 운영사 스칼라데이터의 충전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 2022년 2월부터 올해 4월까지 한 달 평균 충전 금액은 5만원으로 집계됐다. 2년새 15%가량 증가한 수치다.
2022년 4만6000원쯤이었던 평균 충전 금액은 2023년 5만1000원쯤으로 5000원 상승했고, 올해에는 지난해 대비 2000원 오른 5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2년간 충전 금액은 평균 월 7000원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충전 방식에 따라 인상률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완속 충전의 평균 충전 약 2만8000원, 급속 충전의 경우 6만5000원쯤이었다. 또 출퇴근 충전 유형은 4만8000원쯤이며 상대적으로 주행거리가 긴 영업용 차량의 경우에는 12만8000원쯤으로 집계됐다.
전기차 충전 요금의 상승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위해 설립된 LG 유플러스 볼트업은 지난 7월 1일부터 충전 요금을 인상했다. LG 유플러스 볼트업은 공지사항을 통해 일반 요금을 기존 1킬로와트아워(kWh) 240원에서 270원으로 30원 올랐으며 구독요금제 이용고객의 경우에도 189원/1kWh로 기존 대비 20원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의 급속 충전 요금 역시 상승했다. 환경부는 2022년 9월 1일부터 급속 충전 요금을 인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인상 전 충전 요금은 50kW 충전기 기준 1kWh당 292.9원이었으나 이를 309.1원으로 인상했다. 또 100kW 이상 급속 충전기는 324.4원에서 347.2원으로 올랐다. 환경부는 요금 조정은 전기차 충전 요금 특례 할인 종료와 전기 요금 인상분 등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충전 요금 할인율은 하락세를 기록하다 현재는 0%에 도달했다. 지난 2017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기본 요금과 전력량 요금 할인율은 각각 100%, 50%에 달했다. 하지만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는 각각 50%, 30%의 할인이 적용됐다. 2022년 7월부터는 할인이 모두 사라진 상태다.
충전 요금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전기차를 영업용으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주행거리가 많은 특성상 충전 요금 인상의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한 전기트럭 이용자는 “뛰어난 경제성에 매력을 느껴 전기 트럭을 구매했지만 충전 요금이 인상되면서 한 달 평균 충전 비용이 눈에 띄게 늘었다”며 “충전 비용 할인 등과 같은 혜택으로 인해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도 저렴한 비용 탓에 전기차를 운행하는 맛이 있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실제로 포터 2 일렉트릭을 기준으로 1만킬로미터(㎞)를 주행했을 경우 총 충전 비용은 급속 충전시 105만원으로 집계됐다. 초급속 충전은 112만원 수준이다. 반대로 포터 2 LPG의 경우 리터(ℓ)당 7.0㎞의 복합연비, 8월 18일 기준 LPG ℓ당 평균 가격 1016.96원을 기준으로 산정하면, 1만㎞ 주행 시 연료비는 총 142만2414.29원다. 두 모델의 비용 차이는 30만원 수준이다.
아직 LPG 대비 경제적이지만 충전 요금이 계속해서 상승할 경우에는 차이가 좁혀지거나 넘어서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를 선택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적은 유지비다”라며 “최근 충전 요금이 계속 상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요금 할인이 적거나 없어짐에 따라 전기차 구매율은 더욱 줄어들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충전 요금은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가 충전 요금 안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계속해서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내 전기차 신규 도대수는 전년 대비 28.1% 감소했으며 점유율 역시 지속해서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