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공개 추진…“K배터리엔 수혜”
||2024.08.09
||2024.08.09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우려가 커지면서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와 소비자 선택권 확대가 산업계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위해 배터리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같은 정보 공개가 의무화할 경우 품질에 강점이 있는 K배터리 선호가 뚜렷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전기차 배터리 화재 원인과 사고 예방, 사후 대응 관련 종합 대책을 발표한다.
종합 대책에는 배터리 안전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로 안전성 문제가 도마에 오르면서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 의무화 방안 등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완성차 업계는 차량을 출시할 때 크기나 무게, 출력, 연비 등 차량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배터리에 대해선 용량만 공개할 뿐 제조사 정보는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소비자 사이에서는 배터리 제조사의 기술 역량이 전기차 구매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정보인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선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가 의무화되면 K배터리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본다. K배터리가 배터리 품질과 안전성 측면에서 중국산 배터리 대비 우위에 있다는 판단에서다. 제조사 정보 공개는 ‘득’이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배터리 업계 한 관계자는 “제조사가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나 소비자 신뢰도에 따라 희비가 갈릴 수 있다”며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제품 개발 단계부터 품질 향상에 집중해왔기 때문에 후발업체나 인지도가 낮은 기업 대비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토부 조사에서 이번 사고 차량에는 중국 파라시스의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은 리튬과 인산철로 양극재를 구성하는 LFP 배터리에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NCM 등 삼원계 배터리 분야에선 후발주자로 꼽히며 K배터리에 비해 기술력이 뒤쳐진 것으로 평가 받는다. K배터리는 시장 초기부터 NCM 배터리에 주력하는 등 프리미엄 차량을 중심으로 해당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
관련해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배터리 화재 사고로 안전성과 성능이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이는 K배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가속화될 수 있는 부분”이라며 “품질에 강한 K배터리는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가 추진될 경우 소비자 선택권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차량 구매시 소비자들이 옵션처럼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소비자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고객들은) 여러 차례 안전성 논란이 제기된 중국산 배터리보다 K배터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가격보다 안전성에 무게를 두는 소비자 트렌드를 기대할 만한 시기”라고 밝혔다.
박혜원 기자 sunon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