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조작질’ 한국 판매 모델까지 들통.. 국내 차주들 난리난 상황
||2024.08.05
||2024.08.05
지난 연초, 토요타는 자회사가 제작한 디젤 엔진 3종에 대한 공식 인증을 밟는 과정에서 출력 시험을 위반한 사실이 적발된 바 있다. 이 사건으로 일본 국토교통성은 인증 사기로 판명된 엔진의 출하 중지를 토요타에게 명령했다. 10개 이상 차종의 출고가 정지되었다.
이후 국토교통성은 차량 기준적합성 검증을 재실시한 결과, 문제가 없음을 발표했다. 출하 정지도 해제되었고, 엔진의 생산도 재개됐다. 그렇게 해프닝으로 끝나는 듯했으나, 6월 토요타와 혼다를 포함해 5개 자동차 제조사의 38종 차량이 이러한 논란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 중 한국에 수입되는 모델은 없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 차주들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토요타는 7개 차종에서 6개 사안에 대해 정부의 기준과는 맞지 않는 방법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고 시인했었다. 그리고 지난 7월, 토요타 자동차는 지난 10년 간의 판매 차량 인증 과정을 검수하여 추가적인 부정이 없다고 밝혔다. 한 달간 이어진 검수 작업 끝에, 더는 부정을 저지르지 않았음을 국토교통성에 보고했다.
그런데 이 토요타의 검수 작업 또한 거짓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토요타에서 자동차를 대량 생산하는 데 필요한 ‘형식 지정’에 대한 부정이 발견되었음을 지난 7월 31일 발표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전 7개 모델 이외에는 인증 부정이 없다고 발표한 토요타의 말과는 달리, 일본 국토교통성 현장 조사 결과 추가적으로 7개 모델에서 인증 부정이 확인됐다.
해당 7개 모델은 해리어, 렉서스 LM, 캠리, 프리우스 알파, 제너레이션 라브4(RAV4), 노아, 렉서스 RX다. 현재 생산 중인 차량, 단종된 차량 모두 포함되어 있다. 심지어 한국에 수입된 모델도 있다. 특히 해리어의 경우에는, 충돌 테스트에서 대량 생산의 부품과 다른 사양의 도어 프레임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함께 본 기사: 세단은 줘도 안 탄다.. 요즘 SUV, 인기 제대로 폭발한 이유 확실했죠
일본 정부도 칼을 빼 들었다. 국토교통성은 추가적인 부정을 발견한 날과 같은 7월 31일, 토요타에게 도로 운송 차량법에 근거해 조직의 근본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시정명령‘을 내렸다. 또한 “지금껏 토요타에서 의도적이고 광범위한 부정이 행해지고 있었다”라고 지적했다.
시정명령은 전술했듯 일본 도로운송차량법에 따른 조치다. 차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정을 저지른 기업에, 조직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내려진다.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과 이에 대한 정기 보고를 기업에게 요구한다. 위반 시에는 벌금을 내야 한다.
처음 7개 모델에서 부정이 발견되고, 6월 3일 토요타의 아키오 회장은 진심으로 사죄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올바른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양산, 판매했다.”라며 “토요타그룹 책임자로서 소비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라고 말했다. 1월 말에도 계열사의 품질 인증 부정으로 숙였던 고개다. 그리고 또 추가적인 부정이 발견됐다. 과연 아키오 회장의 사과에는 진정성이 담겨있을까.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