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세대일수록 자동차 구매에 오히려 소극적이다” (조사 결과)
||2024.08.01
||2024.08.01
20·30대가 40·50대보다 자동차 구매에 소극적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동차 구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1일 시장 전문 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에 따르면 응답자의 74.7%는 '자동차가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했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동차 구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20대의 동의율이 66.8%로 가장 낮았다. 그 뒤로 30대(72%), 40대(77.6%), 50대(82.4%) 순이었다.
'결혼을 한 가정이라면 차 한 대쯤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항목에도 20대(80.4%)의 동의율이 가장 낮았다. 그 뒤로 30대(82%), 40대(82.8%), 50대(87.6%) 순이었다.
젊을수록 여가생활 수단으로서 자동차에 대해 갖는 호감도도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로 여가생활을 하는 것보다 스마트폰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즐겁다'는 항목에 대해 20·30대의 동의율은 각각 48%, 38.4%에 달했다. 하지만 40·50대의 동의율은 25% 내외에 불과했다.
차량 구매 계획에 대한 질문에서 전체 응답자 중 71.3%가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앞선 2018년 조사 이후 구매 예상 시기는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매 예상 시기로 '3년보다 더 늦게'의 응답률은 2018년보다 1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6개월∼1년 이내'의 응답률은 7.6%포인트, '1년∼2년 이내'의 응답률은 7%포인트 줄었다.
이와 관련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최근 소비 위축 등 경제적 영향도 있겠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기술 및 인프라 안정성을 고려한 잠정적 구매 시기 지연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기프트리] 최애 스타 홍보 전광판 광고 지원 받기!